개발바닥

챗봇 용어 본문

개인 공부/챗봇

챗봇 용어

라이언 2019. 1. 30. 23:05
반응형

챗봇이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답변/접수를 대화로 진행하는 Bot 서비스이다.

 

챗봇 맥락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서 의도(Intent)핵심어(Entity)를 추출한다.

부족한 정보는 재질의를 통해서 필수 값들을 얻어 낸다.

필수 값들이 모두 채워지면 API를 통해 상기 대화에서 입력받은 질의 조건을 기반으로 쿼리를 날린다.

챗봇은 API를 통해 알아낸 여러가지 내용을 고객에게 제시한다.

 

챗봇 관련 용어들

 

 

 용어

설명 

유사 표현 

자연어 (Natural Language) 

한국어, 영어 등과 같이 인간이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시 사용하는 수많은 언어를 말한다. 

 사람이 쓰는 말

NLU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자연어로 표현을 "이해"라는 관점으로 새롭게 분류/변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챗봇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와 그 의도속에 포함되어 있는 중요 키워드들로 변환하기 위해 NLU가 쓰인다.

자연어 이해 

인텐트 (Intent) 

챗봇과 대화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말한다. Intent는 사용자의 입력문장에 따라 분류되는 단위이며, 챗봇이 답벼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예를들어서 "오늘 날씨 어때?","오늘의 날씨", "날씨좀 알려줘" 3가지 표현은 모두 "날씨정보조회"라는 하나의 의도로 분류될 수 있다. 

의도 

엔티티 (Entity) 

입력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중요 키워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내일 날씨 어때?"라고 했을때 인텐트는 "날씨 문의"라고 한다면,"내일은 일자에 해당하는 엔티티(Entity)이다.  

키워드,핵심어 

챗플로우 

대화의 흐름을 단순하게 모형화한 것을 챗플로우라고 한다. 챗플로우를 통해 대화의 맥락에 따른 챗봇의 답변, 시스템 연동 등을 만들어 갈 수 있다. 

대화흐름 

Slot Filling 

챗봇이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값을 받기 위한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되물어보고, 답을 받는 형태로 진행된다. 

빈칸 채우기, 되묻기, 추가 질의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