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백준 사이트
- 12761 돌다리
- 하둡
- 몽고디비 렘
- 12761번 돌다리
- flask
- 우분투
- 트리 순회
- golang struct
- MongoDB Realm
- golang
- 자바 디자인 패턴
- 백준
- http 완벽가이드
- domain driven develop
- 고 배열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 정렬
- String 함수
- 백준 12761번
- 도메인 주도 개발
- ddd
- 백준 파이썬
- 백준 12761
- 자바
- hadoop
- 파이썬
- http 개념
- 자바 디자인패턴
- go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Acid (1)
개발바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fFoD/btqCNGRAn4V/64cqaUS21rXsmwK9NwG321/img.png)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즉 삽입(INSERT), 갱신(UPDATE), 삭제(DELETE)와 관련된 논리적인 작업을 말하며, DML 실행과 동시성 제어를 위한 중요한 개념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 트랜잭션을 통해 정상 종료나 사용자 프로세스 실패나 시스템 실패와 같은 비정상 종료에 대해 데이터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보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되는 상태에서 DML 작업을 완수하기 위한 기본 작업 단위이다. 일반적으로 DML 실행과 실행에 대한 커밋/롤백 단계까지를 트랜잭션이라고 부르지만, 실무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SELECT 문으로 데이터를 조회하고 DML을 실행하여 종료하는 과정까지를 트랜잭..
개인 공부/기술 면접
2020. 3. 18. 09:36